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메이플 3계정 돌리는데 유니온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본계정 포함해서 3계정을 무자본으로 키우고 있는데요부계정들 쌀먹용이나 결정석팔이용
안녕하세요  제가 본계정 포함해서 3계정을 무자본으로 키우고 있는데요부계정들 쌀먹용이나 결정석팔이용 아니고 진심으로 육성을 목적으로 키우고 있는데요아시다시피 작년 여름방학까지만 해도 제로백 줬었는데 이젠 챌섭으로 바꾸고 특정점수 이상 받아야 유니온 딸각을 주잖아요?제 본계정은 이미 유니온이 신캐 포함해서 전부 200이상되서 유니온 200딸각비약 없어도 돼요있어봤자 200작 된 캐릭터들 경험치 주는용도죠제가 부계정이 2계정이 있는데 그 2계정도 하이퍼버닝 하거든요한계정은 본계정과 다른넥슨계정이고, 나머지 한계정은 본계정과 같은넥슨계정에 만든 메이플 계정인데일단 제 부계정 1차목표가 하이퍼버닝을 키우면서 유니온200둘둘을 기본적인 기반을 깔아놓는거거든요이렇게 해놓으면 그 이후에 하이퍼버닝 키울때 더이상 테라버닝을 안키워도 되잖아요?그래서 테라버닝과 메가버닝 열심히 육성하고 있거든요근데 앞으로 남아있는 유니온이 제로와 신캐 포함해서 1. 다른넥슨계정에 있는건 13캐릭정도 남았더라구요2. 같은넥슨계정에 있는건 33캐릭인가 그정도 남았어요제 입장에서 볼때는 1번 같은경우는 제가 볼땐 유니온 육성부분에서는 급해보이진 않거든요 근데 2번 같은경우는 너무 많이 남아있어서 시간이 걸릴것 같거든요제가 평생 백수라면 몰론 하고도 남겠지만 메이플때문에 자초적으로 백수를 할순 없고 평소 피로도를 생각해서 어떻게 해야 최대한 빠르게 피로도 없게 육성할수 있을까요? 
질문자님께서 메이플스토리 유니온 육성에 대한 깊은 고민을 가지고 계시는군요. 특히 여러 계정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피로도 없이 육성하시려는 목표에 공감합니다. 남은 캐릭터 수가 많은 만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최대한 빠르게, 그리고 피로도를 줄이면서 유니온을 육성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해 드립니다.
# 1. 육성 우선순위 설정
* 핵심 링크 스킬 및 유니온 효과 직업 우선 육성: 모든 캐릭터를 동시에 키우기보다는, 게임 플레이에 필수적인 링크 스킬을 가진 직업이나 유니온 공격대 효과가 뛰어난 직업들을 먼저 육성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데미지, 크리티컬 확률, 방어율 무시 등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직업들을 우선적으로 200레벨까지 달성하면, 이후 다른 캐릭터들을 육성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직업군별 육성: 비슷한 스탯을 사용하는 직업군(예: 전사, 마법사, 궁수, 도적, 해적)끼리 묶어서 육성하면 장비 돌려쓰기나 공통적인 육성 노하우를 적용하기 용이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2. 효율적인 레벨업 전략
* 버닝 이벤트 최대한 활용: 하이퍼 버닝, 테라 버닝, 메가 버닝 등 현재 진행 중인 모든 버닝 이벤트를 남은 캐릭터 육성에 집중적으로 활용하세요. 버닝 캐릭터는 일반 캐릭터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 육성 피로도를 크게 줄여줍니다.
* 성장의 비약 적극 활용: 이벤트 보상이나 보스 드롭 등으로 얻을 수 있는 익스트림 성장의 비약(익성비)은 특정 레벨 구간을 건너뛸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사냥이 지루하거나 효율이 떨어지는 160~180레벨 구간에 사용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 일일/주간 콘텐츠 활용: 매일 몬스터 파크, 메이플 투어 등 꾸준히 경험치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진행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레벨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사냥 피로도가 높을 때 좋은 대안이 됩니다.
* 효율적인 사냥터 선택: 길라잡이를 통해 레벨에 맞는 스타포스 사냥터나 인기 사냥터를 찾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0레벨 이후 뒤틀린 회랑, 잊혀진 회랑, 커닝타워, 크리티아스 등은 많은 유저들이 선호하는 효율적인 사냥터입니다.
* 최소한의 장비 세팅: 유니온 육성용 캐릭터는 고스펙 장비가 필요 없습니다. 경매장에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무스펠 세트(130제)나 보스 장신구 등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스펙을 갖추고 빠르게 사냥하는 데 집중하세요.
# 3. 피로도 관리 및 멘탈 케어
* 단기 목표 설정 및 분할 플레이: 한 번에 모든 캐릭터를 키우려 하기보다는, 하루에 1~2캐릭터씩 특정 레벨(예: 140 또는 200)까지 육성하는 단기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성취감을 느끼며 지루함을 덜 수 있습니다. 긴 시간 동안 한 캐릭터만 붙잡고 있기보다는, 짧게 여러 캐릭터를 번갈아 가며 플레이하거나, 사냥 외에 다른 콘텐츠를 섞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 충분한 휴식: 피로도가 쌓이면 오히려 육성 효율이 떨어지고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게임 외적인 활동도 병행하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육성에 도움이 됩니다.
* 다양한 직업 경험: 남은 캐릭터 수가 많은 만큼,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며 각 직업의 매력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새로운 직업을 키우는 재미를 통해 육성 피로도를 덜 수 있습니다.
특히 같은 넥슨 계정에 33캐릭터가 남아있는 경우, 위 전략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면서 꾸준히 진행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