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35의 부품공유, 호환성을 보면 공군과 해병대, 해군의 삼군통합타격기로 개발이 공군용의 F-35A, 해병대용의 F-35B,해군용의 F-35C의
공군과 해병대, 해군의 삼군통합타격기로 개발이 공군용의 F-35A, 해병대용의 F-35B,해군용의 F-35C의 부품공유와 호환성은 100%를 기준으로 보면 거의 같은 기종 이라고 볼 수가 있을 정도로 높다고 할 수가 있는지 아니면 F-35 라는 같은 기종의 껍데기는 같지만, 알맹이는 거의 다른 기종의 전투기로 보는 것이 맞는지 어느 쪽이 맞나요? 미군이 운용하는 노후기종을 모두 대체하는 단 하나의 기종의 전투기를 개발해서 예산 절감하고 높은 부품공유율과 호환성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루어서 운용유지비도 절감하겠다는 의도로 보면 F-35는 성공한 기종인지 아니면 실패한 기종인지, 그 것도 아니라면 절반의 성공을 한 기종인지 어느 쪽이 맞을지 궁금 합니다. 지상에서 운용하는 공군용 F-35A와 항공모함에서 함상운용이 가능한 해군용 F-35C, 단거리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상륙함과 경항모에서 함상운용이 가능한 해병대용 F-35B의 부품공유와 호환성에서 비교하면 F-35A와 F-35C는 단거리 수직이착륙과 정지비행을 위한 리프트 팬이 없기 때문에 부품공유와 호환성이 높고 있는 F-35B는 부품공유와 호환성이 낮다고 볼 수가 있을까요? F-35를 해공군용 전투기로만 개발하고 해병대용 수직이착륙기는 별도의 사업을 통해서 개발했다면 공군 전투기와 해군 함재기, 해병대 수직이착륙기까지 하나의 기종의 전투기로 개발하는 것 보다는 개발비용 상승, 기간이 지연 되는 문제가 없고 가격 상승의 문제점이 없었다고 볼 수가 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