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와 양도소득세 어떻게 구분되나요? 2021.12.13일자로 연립주택 소유주인 딸이 현재 거주하는 부모님 중 어머니에게 명의이전
증여세와 양도소득세 어떻게 구분되나요? 2021.12.13일자로 연립주택 소유주인 딸이 현재 거주하는 부모님 중 어머니에게 명의이전
2021.12.13일자로 연립주택 소유주인 딸이 현재 거주하는 부모님 중 어머니에게 명의이전 하려고해요. 딸은 같이 살지 않고 있구요 24년 공시지가는 243,000,000이고 취득가는160,000,000이에요매매로 등기신청하는 방법과 증여세, 양도소득세 금액 알려주세요
https://naver.me/x679AcTQ

증여세율 증여세신고 기한 면제한도액 계산, 완벽정리 (2025 최신 개정내용)
증여세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즉, 재산을 비용 없이 주고받을 때 부과됩니다. 증여세는 일정 금액 이하의 증여에 대해 면세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여세의 기본 개념과 함께, 관계(부부, 자녀, 며느리, 손자, 형제, 조카 등)에 따라 면세 한도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시간이 없다면 아래 '바로가기'를 이용하세요.▼ 목차1. 상속, 증여세 개정안 2. 증여세 면제 한도액 변경3. 신고기한과 납부방법4. 증여세 공제되는 금액(자...
매도인: 등기권리증, 매도용 인감증명서, 주민등록초본, 인감도장
기타: 매매계약서, 부동산 실거래 신고필증, 취득세 영수필 확인서, 국민주택채권 매입 영수증 등.
관할 등기소에 직접 방문하거나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를 통해 전자신청 가능.
잔금 지급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함.
취득세, 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 수입인지 비용 등이 발생.
직계존속(부모)에게 증여 시 10년간 5천만 원까지 공제 가능.
공시지가 기준으로 공제 후 과세표준은 243,000,000 - 50,000,000 = 193,000,000.
세율 적용: 193,000,000 x 20% - 누진공제액(10,000,000) = 약 28,600,000원.
양도가액 243,000,000 - 취득가액 160,000,000 = 양도차익 83,000,000.
양도차익 83,000,000에 대해 세율 적용: 83,000,000 x 약 24% = 약 19,920,000원.
증여와 매매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세금 부담을 비교하여 결정.
전문가 상담을 통해 정확한 금액 확인 및 절세 전략 수립 권장.